건강한 여성생애관리

생리주기가 길 때, 생명까지 위협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2020. 3. 27. 18:24

세종 유앤그린여성한의원 


생리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이 과연 여성의 생명에도 영향을 줄까요?

 

여성의 생리적인 특징인 월경은 감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지속적인 호르몬의 변화와 월경주기 변화로 인해서 컨디션 자체가 

결정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균 12살 쯤에 초경을 시작하여 50세 전후로 폐경기에 접어드는 

이 과정을 거의 40여년 간 매달 불편함을 겪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과정 중에 불규칙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한 건강 악화까지 

찾아오는 것이 생각보다 여성에게는 더 큰 아픔으로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생리 주기 길거나 불규칙한 여성, 조기사망 위험 커"

생리 주기가 다른 사람보다 과도하게 길거나 불규칙한 여성은 조기사망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1991년부터 2013년까지 9만 377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

news.naver.com

생리주기가 다른 사람보다도 과도하게 길거나 불규칙한 여성은 

조기에 사망할 위험성으 크다는 내용을 위 뉴스에서 담고 있습니다.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1991년부터 2013년까지 약9만여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2) 그 결과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여성은 규칙적인 생리주기를 

가진 여성보다 원인에 관계가 없이 사망할 가능성이 34%나 

높았습니다. 

 

3) 생리주기가 40일 이상인 여성과 생리주기가 32~39일인 

여성은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여성보다 사망 위험이 

각각 28%, 23% 더 높았습니다. 

 

4) 연구팀은 이런 결과 원인에 대해서 불규칙한 생리주기를 

가진 여성은 각종 질환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추측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질환으로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위의 논문은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생리주기를 회복하고 

임신과 출산에 성공한 사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부익지황환가미방을 처방했고 침구치료는 주 1~2회를 처방해 

자궁과 난소로의 혈류를 개선했습니다. 

 

2) 평균 28일의 주기로 월경 주기를 회복했고 7번의 월경 후에 

배란유도제와 고나계 없이 자연임신에 성공했습니다. 

 

3) 이는 호르몬 대체요법에도 불구하고 무월경이 나타나고 있는 

환자에게 한의학적 변증 치료는 시도해볼만 하며 이를 통해서 

체계적으로 원인부터 난소기능을 회복시키고 강화해 호르몬 

대체요법의 도움을 받지 않고 월경 주기를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고있습니다. 

 

 

 

한의학적 치료는 보통 심신의 안정을 도모시키고 울체된 기운을 

풀어주는 처방과 자궁강내 어혈정리를 기본으로 해 난소기능 

강화와 혈액순환을 돕는 침시술과 약침요법, 온열요법의 

대표적인 왕뜸인 질이나 자궁으로의 직접적 약김을 쐬는 

좌훈요법 등을 통해서 자궁과 난소 기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세종 유앤그린여성한의원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