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난임을 부를 수 있는 자궁내막증은 절제수술이 답일까?

 

자궁내막이란 자궁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혈관 조직을

말합니다.

 

자궁내막증은 보통 자궁내막은 자궁 내에 있어야 하는데

이 조직이 난소나 자궁 바깥 표면, 나팔관, 복막 등 자궁 바깥에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자궁내막증의 경우 10% 정도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대부분 생리통이나 부정출혈, 만성 골반통, 성교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치하면 불임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을 하고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나팔관에

유착이 되면 치료를 하더라도 자연임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통 자궁내막증의 치료로는 이를 절제가 있습니다.

모든 병소를 제거하고 전기 소작 등의 방법으로 잔여 병변까지

없애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수술적인 방법은 환자에게 체력적, 심리적으로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수술적인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재발의 가능성이 있고 

통증 및 관련 증상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수술에 대한 선택이 쉽지 않습니다.

 

수술을 급하게 서두르기보다는 발생 환경과 원인을 찾아

개선해서 자궁의 기능적인 건강을 회복해가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면밀히 관찰하고 최후의 방법으로

수술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내막증의 한의학적 치료는 생리의 정상적인 배출을 돕는데

초점을 둡니다. 치료를 통해 자궁 골반 내의 혈액순환을 도와

자궁내막증의 진행과 악화를 막고 생리통과 골반통을 개선합니다.


 

하지만 모든 자궁내막증이 한의학적 치료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자궁내막증에 의해 나타난 혹의 크기가 5~6cm 미만이고 진행이

빠르지 않은 경우, 관련 통증과 생리통이 심하지 않은 경우, 

임신 계획이 있는 경우 한의학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자궁내막증의 악화나 재발을 예방하는데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합니다.


 

 

자궁이 있는 하복부를 최대한 따뜻하게 유지하고 생리 중에는 특히 보온

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따뜻한 음식을 먹고 기름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내막증 치료는 무조건적으로 수술하는 방법만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술을 한 경우라도 반드시 발병 원인을 찾아 개선해 재발을 막고

자궁의 정상적인 생리와 임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종 유앤그린한의원에서 자궁내막증을 치료하고

자궁의 건강을 되찾기를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