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극심한 생리통을 매번 느낀다면 청소년 자궁내막증을 의심할 수 있을까?

초경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여자 청소년의 경우

생리통이 심한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말 중에

학교에서 하루에 아이들에게 평균적으로

제공되는 진통제 양이 2 케이스 이상이라고

하니 많은 아이들이 생리통에 생리통에

고통받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호주에서 발표된 2010년의 연구에 따르면 

생리통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지만 15~ 19세

청소년의 경우 생리통 조사가 거의 없어

그 비율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5~15%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이 생리통을

겪고 있으며 자궁에 이상이 없는 기능성과

자궁내막증 등의 원인이 되는 기질성이라는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다양한 생리통 증상 중 비전형적이고 특이한 증상을

나타내는 청소년들이 약 10% 가량이 있었는데

방귀가 나올 때와 방광이 찼을 때의 통증, 배변통이나

배뇨통, 배뇨 후 통증 등이있다고 합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자궁내막증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 배변 시 방귀가 나올 때의 통증은

일반적인 양상으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내막조직이 방광의 벽에 침투했거나 붙어있을 가능성

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소년은 예민하고 감수성이 풍부한 시기로

의료기관에 가고 싶어도 부모님께 쉽게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의학 치료에 대한 연구
출처: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자궁내막증에 대한 한의학 치료에 대한 연구를 담은

논문입니다.

 

동국대학교 병원에 내원한 환자에 대한

임상 경험을 공유하고자 작성되었다고 합니다.

 

근래에 청소년 연령층에서도 성인과 비슷한 비율로

내막증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통상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월경통이나

골반통을 나타내는 청소년 임상과정에서도 이 질환을

유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내막증은 잦은 재발과 만성적인 경과를 가지는 질

환이기 때문에 치료 원칙을 적용하여 초기 진료 단계의

임상설계 과정부터 환자에 대해 유의해야 합니다.

 

적절한 의사와 환자의 단계를 수립해 충분한 치료 기간을

확보하고 치료 과정 중에서 스트레스와 불안 등에 대한

심리적 지지와 강화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 골반의 기혈순환을 개선할 수 있는

한약치료와 침구치료 및 보류 관장요법을 이용한

통증 관리는 전망이 밝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양방학적으로 통증 조절에 초점을 맞췄지만

한의학적 치료의 경우 불임증까지 고려하고 있어 

가임기 여성에게 바람직한 치료라고 강조했습니다.

 

평소 생리통이 심해 학교가기도 고통스러워 한다면

질환에 대해 의심해보고 의료기관에 방문해

청소년의 건강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생리통이 심해 학교 가기가 너무 힘들다면

세종 유앤그린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