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에는 여성호르몬 감소와 자율신경계 저하
등으로 신체가 전반적으로 불균형해집니다.
이 시기에는 신체적 증상도 있지만 정신적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무기력증, 허무함 등 모든 것을 동반하는 우울증은
본인도 힘들지만 주변도 지치게 하기 때문에
관심이 필요합니다.
갑자기 화가 많아지고 잘 웃지도 않으며 짜증만 늘어
나게 해 주위 사람을 당황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
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감정 기복을 보이더라도 위로
해줄 수 있는 주변 사람의 배려도 필요합니다.
폐경이라 불리는 완경기는 여성으로서의 역할이
끝났다고 본능적으로 몸으로 표현을 합니다.
그러므로 재충전 시간으로 삼을 수 있게
적절한 치료와 주변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한방치료와 정신요법으로 호전된 갱년기 장애를 동반한
우울증 환자 치험 2례
출처: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갱년기는 생리 과정의 변화기에 나타나는 우울증
치료에서 정서 조절이 특히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단지 갱년기 장애의 일부로 간주하고
호르몬 조절 등 신체적 조절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한의학적 정신요법과 점진적 근육이완법을
사용해 우울증과 더불어 신체증상이 호전된 경과를
보고했다고 합니다.
내용 중 한 환자는 두 차례의 치료 이후에
수면 상태도 호전되고 전반적인 갱년기 증상도 많이
호전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질의 위축으로 인해 성생활 장애가 생긴 후
무능력감과 열등감이 심화되었고 그 사실을
혼자 앓다가 상담 이후에 배우자와 대화를 시작하면서
자신감과 안정감을 찾았다고 합니다.
갱년기 우울증은 갱년기가 지난다고 사라지는
가벼운 증상이 아닙니다. 몸이 또 한 번 변하는 시기
이기 때문에 더 잘 쉬고 치료받아야 합니다.
요즘 들어 우울하고 힘이 들다면 세종 유앤그린한의원에
오셔서 어려움을 같이 나누시면 좋겠습니다.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 후 산후보약은 언제 복용하는 것이 좋을까? (0) | 2020.05.08 |
---|---|
폐경기 골다공증 예방으로 칼슘섭취 외에 다른 방법은 없을까? (0) | 2020.05.06 |
출산 후 몸조리를 잘못하면 생길 수 있는 산후풍 관리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0.04.27 |
극심한 생리통을 매번 느낀다면 청소년 자궁내막증을 의심할 수 있을까? (0) | 2020.04.24 |
심한 생리통을 동반한 생리양 과다는 자궁근종을 의심할 수 있을까?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