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수족냉증과 부류혈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수족냉증과 부류혈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방석이 없으면 찬 바닥에 앉기가 부담스러운 분들이 계시죠? 늘 시린감을 느끼면서 말입니다. 

특히 이런 경우 여성분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듯합니다. 냉간을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신체의 특정한 부위만 차가움을 느껴 스스로 곤란한 지경에 이르거나 다른 사람에 비해서 온몸이 차가운 증상을 느끼는 것, 바로 '수족냉증' 입니다.

 

 

‘부류혈’ [송미연의 촌철지압]

부류혈(復溜穴)은 종아리 뒤 안쪽 면에 위치하는 혈자리로, 안쪽 복사뼈 라인에서 아킬레스건 안쪽을 따라 위로 5~6㎝ 정도 올라간 곳을 지그시 눌러준다. 땀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다른 혈자리와 조합하여 땀을 내거나

news.naver.com

 

왠 갑자기 혈자리 이야기냐고요? 

한의학적으로 한번 수족냉증을 풀어보려 합니다. 

 

부류혈은 종아리 뒤 안쪽에 위치하는 혈자리입니다. 

해당 혈자리 아래 위치한 태계혈과 함께 혈자리에 적절한 치료가 이뤄질 경우 수면 중에 식은 땀을 흘리는 증상과 부종을 감소시켜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저신에 기운이 없고 신체가 차가운 경우에도 도움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한의원에서의 지압 혹은 마사지"

 

한의학적으로 수족냉증을 주로 족소음신경과 족태음비경 경락 흐름이 정체되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경락을 따라 다리 안쪽을 장단지부터 허벅지까지 아래에서 위로 부드럽게 만져주도록 하는 마사지가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직접 마사지를 할 경우에는 안마용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샤워를 할 때 따뜻한 물을 사용해 경락을 따라 마사지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지압을 하는 부위가 주로 앞선 부류혈과 태계혈에 보내 용천혈과 삼음교혈 등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런 냉증과 같은 치료는 온기가 적어져 신체가 차가워져 오는 경우 따뜻한 성질을 가진 한약을 사용해 침치료와 더불어 하복부에 온열치료, 뜸치료, 좌훈치료 등의 한의학적 치료가 이뤄지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한편 양기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특정 부위에 한기를 느끼는 경우 어혈을 풀어주거나 전신의 혈액순환을 활발히 하여 신체를 골고루 따스하게 하게 될 수 있도혹 한약과 침치료가 진행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크지 않은 비용으로 약간만 정성을 쏟는다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가 있습니다. 치료에 있어서 큰 어려움은 없지만 회복이 중요하니 기간을 어느 정도 잡으시고 시작을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