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1년간 정상적인 성생활을 했지만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불임이라고 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운동과 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이 변화하고
다양한 화학물질과 환경호르몬으로 대표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이 증가됨에 따라서 불임 환자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원인은 다양합니다. 사람의 생식능력은 인체의 모든 건강상태 및
질환과 연계될 수 있어 광범위합니다.
불임 남성, 전립선암 위험 높다?
불임 치료를 받은 남성군에서 전립선암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룬드대 연구팀은 스웨덴 의료기록을 분석해 1994년부터 2014년까지 불임 치료를 받은 적 있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news.naver.com
기사에서 전하는 연구내용은 스페인 룬드대 연구팀 스웨덴 의료기록을
분석한 것으로 1994년부터 2014년까지 불임치료를 받은 적 있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입니다.
그 결과 ICSI(세포 질내 정자주입술) 치료를 받은 남성은 불임치료를
받지 않은 남성보다 전립선암 위험이 64% 증가했고
IVF(체외수정, 시험관 아기 시술) 치료를 받은 남성의 전립선암 위험이
33% 증가했다고 합니다.
또한 불임치료를 받은 남성은 불임 치료를 받지 않은 남성보다
55세 이전 전립선암 발병률이 ICSI 86%, IVF 51%가 더
높았습니다.
불임치료가 전립선암 유발의 직접적 연관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유발하는 요인이 남성의 생식능력 이상인지
불임치료인지 명확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남성 불임환자의 한방치료 후 정자상태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
출처: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년 9월 1일부터 2004년 11월 31일까지 한 한방병원에서 남성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초진 시 정액검사를 하고 2~5개월 간 한약 투여를 한 후
다시 정액검사를 시행한 25명 환자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정액검사는 초진 시와 2~5개월의 한약투여를 실시했습니다.
1) 정액량은 약 2.5ml에서 2.97ml 증가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2) 정액의 농도는 한약 투여 전 51.39ml에서 한약 투여 후
약 75ml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3) 정자의 활동성은 한약 투여 전 약 20%에서 한약투여 후
약 3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매우 다양하고 정확하지 않은 원인으로 남성 불임은
한의학적 치료로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남성 난임, 불임에 대한 고민으로 한의학적 치료를 고려하신다면
세종 유앤그린한의원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이 민감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민성방광 (0) | 2020.03.25 |
---|---|
자궁경부암을 부를 수 있는 만성질염, 항생제가 답일까? (0) | 2020.03.23 |
폐경으로 인한 갱년기 안구건조증, 한의학적 치료가 가능할까? (0) | 2020.03.19 |
세균성 질염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0) | 2020.03.18 |
만성 방광염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유앤그린한의원 (0) | 2020.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