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갱년기에 좋은 한약재] 유앤그린이 관리하는 한약재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의 차이는 나무와 숲에 비유합니다.


동양의학은 몸(숲)의 균형을 생각하여 몸 전체의 균형을 되찾고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방에서는 갱년기 장애의 원인을


'신허 (하체 근력 혈류 저하)'라고 생각하고 치료를 합니다.




( 과수원 총감독의 지도에 따라 한약재 퇴비를 사과나무 라인을 따라 파묻는 김은섭, 김남형 원장님)


= 한약재의 힘으로 보다 건강히 살아있는 토양이 되어서 지렁이가 매우 많으며

비료를 뿌린 농장에서는 절대 만날 수 없다고 합니다.



◎ 갱년기에 좋은 한약


1. 반하후박탕

폐경 후 우울증 증상이 있는 경우, 냉증에 지치는 체질, 신경이 예민한 체질,

목에 뭔가 막히는 느낌, 현기증, 구토 등의 증상에 좋습니다.


2. 팔미지황환

하체의 근력저하가 현저한 경우, 체력이 딸리는 경우, 당뇨병,

신장병이 있는 사람, 피로와 하반신의 오한과 통증, 저림이 있고 빈뇨, 핍뇨 등의

소변의 배출에 이상이 있는 경우


3. 당귀작약산

체력이 없으며 피부가 하얗고 부드러운 사람 - 어깨 결림, 두통, 현기증,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4. 계지복령환

비교적 체력은 있으나 얼굴이 불그레한 사람 -어깨 결림, 두통, 현기증,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5. 사물탕

체력이 없고 안색이 나쁜 사람, 피부가 동상에 걸리기 쉽고 건조한 타입의 사람,

냉증, 어깨 결림, 두통,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6. 가미소요산

체력이 부족한 사람, 불안, 불면증, 초조 등의 정신 이상이 있는 경우, 냉증,

어깨 결림, 두통, 현기증, 다리는 시리고 상반신은 뜨거운 생리통,

생리불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7. 육미환

상대적으로 체력이 저하된 사람, 피로와 사지의 오한과 통증, 저림과 빈뇨,

야간 빈뇨와 핍뇨 등의 배뇨 이상이 있는 경우


하체에 혈류가 저하되면 혈액은 상체에 몰리게 됩니다. 따라서

하체를 잘 움직여 혈액순환이 잘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