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갱년기의 위험성] 여성의 갱년기 상태





폐경기란 여성이 더 이상 월경을 하지 않고 

임신능력을 상실했을 때를 말합니다.


나이가 들면 난소가 노화하면서 배란과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폐경입니다.


폐경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개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주로 50세 전후로 폐경기가 되며 개인에 따라서는

이 시기가 빨리 오거나 또는 늦게 올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대개 40대 중후반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데, 

이때부터 생리가 완전히 없어지고 1년 정도까지를 갱년기라고 합니다.


갱년기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생리가 불규칙해지는 것입니다.

또한 여성호르몬 결핍에 의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우리나라 여성들 중 50% 정도는 급성 여성호르몬 결핍 증상

(안면홍조, 빈맥, 발한)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약 20%에 해당하는 여성들은 갱년기 증상이 좀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면홍조와 함께 피로감, 불안감, 우울, 기억력 장애 등이 동반되기도 하고, 

주로 밤에 증상이 나타날 경우엔 수면장애를 겪기도 합니다.

많은 여성들이 기억력 감퇴를 호소하는데 이러한 증상은 개인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개월 후에는 에스트로겐의 부족으로 인해 질에 있는 수분이

건조되어 '질건조' 또는 '질위축증'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태는 성교시 통증을 느끼게 하며 감염으로 인한 

심한 가려움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몸과 마음을 힘들게 하는 갱년기 증상들에 

한약을 통해 완화를 돕고 한의학적 치료로 

갱년기의 다양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