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한의학적 치료,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을까요?

한의학적 치료,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을까요?

 

by 유앤그린여성한의원 대전본원 

 

 

 

중년과 노년기에 발생하고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이가도 한 알츠하이머. 

 

전체 치매 증상 중에서도 약 60~7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병명은 독일의 정신과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박사에 따라 

명명된 것입니다. 

 

당시에 이 병에 대해 노년기 전에 

생길 수 있는 병이라 알려져 있었지만 

노년기 치매도 동일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병리적 소견을 밝혔었고

현재는 발병 시기에 관계가 없이

동일한 범주로서 분류가 되고 있습니다.

 

 

 

 

 

치매는 아직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오랜 시간이 지난 

인간의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가장 유력한 가설은 

'아밀로이드' 입니다. 

 

이는 전구단백이 비정상적으로 

대새되어서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서로 엉겨붙게 

되고 뇌에 축적이 되어 신경반응을 

형성하게 됩니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신경섬유 

매듭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과 

동시에 이 자체가 신경 세포 독성을 

가지고 있어 신경세포 파괴를 촉진하여 

임상적인 치매 상황을 초래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전자, 연령, 가족력 

 

이 외에도 비교적 많은 연구를 통해 

발병 위험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위험 요인으로는 저학력, 우울증 등이 

꼽히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학력은..좀...

어쨌든 아래의 논문을 공유해봅니다. 

 

 

 

위 논문은 한방신경정신과 영역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관련 연구현황

입니다.

한의학적 치료는 현재 어디까지 

연구가 진전되었는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위의 자료를 

정리해볼 수 있었습니다. 

 

1) 1990년~2014년까지 발간된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5권에 

수록된 논문 중에 알츠하이머형 

치매 관련 논문을 검색한 결과입니다. 

 

2) 총 47편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관련 

논문을 찾아볼 수 있었고 41편의 

실험연구, 1편의 소수증례, 1편의 

다중 증례 분석, 4편의 임상 시험연구가 

있었습니다. 

 

3) 1990년부터 1996년까지 한방신경

정신과학학회지에서 알츠하이머형 

치매 관련 보고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후 매년 1~7건 가량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 

 

4) 알츠하이머형 치매 침구치료에서는 

백회, 신정, 인당, 인증, 합곡, 태충, 

후계, 임읍 등의 혈자리가 사용됐습니다.

이침도 활용이 되었으며, 그외에는 

사혈요법 혹은 자락침법 등을 사용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5) 한의학적 처방으로는 

공진단, 조위승청탕, 건뇌탕, 

향부자팔물탕, 사향소합원, 형방지황탕 

등이 있었으며, 실험 연구에 사용된 

다수 치방들이 같거나 유사한 방의를 

가진 경우가 많았습니다. 

 

6) 임상 치료에서는 약침이 사용된 

예는 없었지만 관련 실험 연구에서 

자하거약침을 사용한 연구가 진행된 

예가 있었습니다. 

 

 

 

 

여기까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의미와 한의학적 치료는 어디까지 

연구적 성과가 이뤄졌는지 알아봤습니다. 

 

노후에 본인에게 이 병이 다가오면 

어떻게 해야할지, 게다가 갑자기 오지는 

않을지, 너무 걱정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단, 하루라도 빨리 이와 같은 치매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의학적 연구의 성과가 어서 한발 

더 내딛을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