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자궁내막증에 도움이 되는 한약이 있다?

유앤그린여성한의원 부산 분원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여성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월경통, 골반통, 난임과 같은 신체적 증상과 

통증, 변덕스러운 경과에서 비롯된 우울과 

근심 같은 심리적 부담의 원인이 됩니다. 

 

그렇지만 치료적 선택의 폭은 넓지 않기도 

합니다. 부인과적 치료를 통해 피임약 복용과 

수술을 통해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으며, 

피임약의 경우 장기복용 시에는 난소기능을 

저하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수술 치료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병변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이후에도 언제든지 

재발의 가능성을 남긴다는 점에서 치료적 

선택을 하기가 부담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한의학적으로 치료되는 자궁내막증의 과정

 

위에 소개해드린 논문은 자궁내막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작용 중에서도 한혈관신생효과에 

집중해 자궁내막증을 위한 치료의 효과와 기전에 

초점을 둔 연구입니다. 

 

● 자궁내막증의 발생 그리고 혈관신생 

 

내막증 발생에는 면역, 호르몬, 유전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기여합니다. 

연구에 따르자면 신경 섬융와 염증인자의 이상과

비정상적 발현이 내막증 발생에 연관이 있었고 

특히나 최근 연구에서는 혈관신생과 신경섬유의 

성장이 내막증으로 인한 통증에 함께 관여됩니다. 

 

그리고 자궁내막조직의 부착과 증식, 침범과 

혈관신생은 자궁내막증 발생의 필수적인 병리요소로 

여겨지고 있는데 혈솬형성을 억제하는 항혈관신생은

내막증 병변 초기 단계와 수술 후 단계에 치료 

의의를 가질 수가 있으며, 실험연구에 따르자면 

할항혈관신생 물질이 자궁내막증 병변으로의 

혈류공급을 막아서 병변을 축소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다양한 약물들이 있겠지만 

자치료에 대한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은 

아직은 미비한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서 혈관신생억제제의 경우에는 고혈압, 

좌심수축기 부전, 심무전과 같은 일부 부작용의 

부담도 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항신생혈관 약물은 생식기능과 그 회복에 

필요한 혈관신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태아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어서 자궁내막증 

치료에는 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런 한계로 인해 장기간 동안의 안정성과 

생식기능, 임신중 사용의 안전성까지 갖춘 

치료적 선택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자궁내막증에 대한 한약의 효능 

 

그래서 선택지로는 한의학적 한약치료를 

제안해드리고 싶습니다. 

 

위의 연구가 그것을 근거하고자 하는 자료입니다. 

한약은 천연물에서 유래가 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복용을 하더라도 부작용이 적을 수 있고 

복합적 경로와 다중적 표적 조절을 특징으로 해서 

다양한 자궁내막증의 원인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 연구에서는 한약재와 한약의 

항신생혈관효과를 관찰했는데, 

계지복령환 한약의 경우에는 동물실험에서 

이소성 내막 증식과 부착에 관여하는 PCNA와 

CD31, 혈관실생에 관여하는 VEGF and HIF-1 

발현을 감소시켰고 나아가서 면역 조절, 

세포자멸사를 유도해 내막증 증식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위 연구에서 한약은 자궁내막증에 대해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작용이 이뤄졌습니다.

 

1)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를 조절한 진통효과

2) 이소성 자궁내막 조직 성장 억제

3) 내막증 증식 분비에 관여하는 호르몬 조절 

4) 혈관작용 물질과 혈관조절인자 조절 

5) 면역기능 조절 효과 

 

즉, 강조드리고 싶은 것은 역시 안전성입니다. 

천연약재이므로 독성과 부작용도 거의 없으며, 

특히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가임기 여성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한약이 될 수 있습니다. 

 

부산 유앤그린여성한의원에서 그 한약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시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