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를 하지 않는 무월경. 생리 기관이 귀찮게
여겨져도 막상 생리를 하지 않으면 괜스레
마음속 불안감이 커지게 되는데요.
정상적인 생리가 여성에게 몸의 건강신호를
나타내어주기 때문입니다. 생리불순과 다르게
6개월 이상 생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 무월경으로
분류됩니다.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니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정상적이지 않는 월경을 하고 있는 경우
1. 전혀 월경이 없는 경우
2. 한 달에 두어 번씩 월경하는 빈발 월경일 경우
3. 과다 월경으로 양이 너무 많은 경우
4. 과소 월경으로 양이 너무 적은 경우
5. 보름 혹은 한 달 내내 월경이 지속되는 경우
6. 배란기 출혈과 자궁출혈 등의 경우
그중에서도 월경이 체외로 배출되지 않는
현상으로 일어나는 무월경은 자궁내막은
선천적인 기형 등으로 탈락하나 겉으로는
자궁에서 월경 출혈이 아예 발생하지 않거나
무월경인 경우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월경이 선천적인 기형에 의해서 없어질 경우
초경이 생기지 않게 되며 한 달에 적어도
한 번 정도 아랫배가 아프며 끊임없는 두통과
어지러움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외과적 시술의 도움을 받아야만 합니다.
월경 출혈이 자궁에서 발생하지 않을 경우
자궁의 결핵 또는 유착이 심해져 있거나 자궁
내막의 손상이 심각해 자궁내막이 호르몬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인데요. 다른 경우로는
빈혈이 심하여 자궁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들 역시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에 적극적으로 임하셔야 합니다.
소화흡수가 좋지 못하여 혈이 허하거나 하혈이
많았을 경우 혈을 보호해주는 한약을 복용하고
혈액순환이 어혈로 인하여 원활하지 못할 경우,
어혈침을 처방받거나 어혈을 제거하는 한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난소로 가는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한약이나 좌훈요법 등도 병행해야
합니다. 습담을 제거하는 한약을 사용하여
비만으로 인한 무월경을 치료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왕뜸, 침구요법, 좌훈, 운동요법
등으로 생식기능을 향상하도록 하고
혈류 순환을 자궁으로부터 원활하게 하는
보조요법이 처방되기도 합니다.
여성분들의 건강에 언제나 힘쓰는
유앤 그린 여성한의원 세종점이 전해드립니다.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0) | 2020.03.02 |
---|---|
생리통 증상 완화에 좋은 이 방법은? (0) | 2020.02.28 |
습관성 유산의 면역학적 요인 (0) | 2020.02.17 |
절박유산 시 질출혈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0) | 2020.02.14 |
생리전에 느끼는 불편함, 생리전증후군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