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도담탕, 여성의 고지혈증에 효능이 있을까요? by대전 유앤그린

도담탕 

여성의 고지혈증에 효능이 있을까요?

by 대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지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을 보면  

우리나라 1인당 1일 평균 육류 섭취량은 

130g으로 1998년 68g에 비해 크게 

상승된 것이 나타납니다. 

 

 

 

20대 사이 2배 가까이 육류섭취량이 

늘어났다는 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고지혈증의 유병률도 함께 증가했다는 

점도 이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05년 한자릿수에 그치던 비율이 

남녀 각각 20.9%, 21.4%로서 

각각 높아졌다는 내용도 나타납니다. 

 

육류 섭취량과 고지혈증이 

함께 증상한 것입니다. 

 

 

 

여성 '고지혈증' 증가?.."달달한 디저트가 주범"

[뉴스데스크] ◀ 앵커 ▶ 지방이 살에 너무 많이 끼면 비만이 되고, 혈관에 너무 많이 끼면 고지혈증이 되는데요. 지난 20년간 여성들의 비만율은 좀 떨어졌지만, 고지혈증은 지난 10여년간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걸까요? 전동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점심식사를 마친 사람들이 자연스레 카페에 자리를 잡습니다. 달달한 커

news.v.daum.net

 

소개해드린 뉴스에서는

고지혈증과 여성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보고 있습니다.

 

# 칼로리 섭취는 줄었고 비만율도 줄었지만 

당류 섭취가 늘어난 것이 고지혈증 증가의 

원인으로 보입니다. 

 

# 최근 젊은 연령층에서 고콜레스테롤 

혈증이 많이 발견 됐습니다. 

기름진 음식, 단순당이 다소 포함되어 있는

디저트, 커피를 많이 먹었기 때문으로 

추측이 되고 있습니다. 

 

# 여성들이 하루 30분 이상 걷는 활동량은 

최근 10여년 사이에 20% 가량이 줄었습니다.

 

# 남성들도 고지혈증 발병률은 늘었어도 

여성의 원인과는 다른 점이 바로 비만이 

주된 원인입니다. 

 

그렇다면 먹는 것에서 위험을 받는 여성들, 

어떻게 대처할 수가 있을까요?

 

 

고지혈증에 효과적인 한약 '도담탕' 

 

한의학적으로 풍증을 일으키는 담병 혹은 

풍으로 생기는 담병인 '풍담'을 주로 

치료를 하는 한약입니다. 

 

# 서론  

 

한의학적으로 고지혈증은 중년과 

노년층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중년 이후에 생체기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한의학적 연구로 비교적 독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급속히 진행 중입니다. 

콩, 황금, 녹차, 황련 등등 다양한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치료 효능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 연구 고찰 

 

임상적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처방으로 

알려진 도담탕이 유효하다는 효과를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삼세한방병원 및 동의의료원의 입원 한방 

치료 환자들을 대상으로 고지혈증 기준인 

TC 220, TG150 중 하나 이상의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결과를 보인 환자들 중에 

고지혈증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환자들에게

도담당을 먹도록 하여 효능을 검토했습니다.

 

# 연구 결과 

 

1일 3회, 2주간 투여한 결과, 

TG(고지혈증 기준) 감소로 유의미했습니다.

TC(고지혈증 기준) 감소로 유의미했습니다.

HDL(콜레스테롤 수치) 는 상승했지만 

유의미한 점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LDL(저밀도 지질단백질: 혈액을 통해 

콜레스테로를 운반하는 분자 중 한가지) 

의 상승으로 유의미했습니다. 

 

따라서, 

고지혈증 수치는 떨어졌고 

일부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수치들은 

상승을 했지만 유의미한 인정은 

받지를 못했으며, 부작용도 거의 없었습니다.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다는 것도 

고지혈증의 특징입니다. 

 

하지만 합병증을 부른다는 차원에서 

정기검진의 중요성도 느끼게 합니다. 

 

여성의 경우 갱년기까지 모르고 갈 경우에 

골다골증 위험성이 켜질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처음 언급드린 운동.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분들이고 

그럴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남성, 여성분들 모두 필자를 비롯하여 

오늘 자신의 건강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