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여성생애관리

경구피임약 복용 시 주의사항 #대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경구피임약 복용 시 주의사항 

#대전 #유앤그린여성한의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활용한 

여성호르몬제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를 

꺼내보겠습니다. 

 

경구 피임약의 역할을 장점이 분명합니다. 

생리관련 문제나 자궁질환 전후 관리와 

치료, 갱년기 증상 완화는 물론이고 

자궁적출을 겪은 여성, 조기난소부전으로 

인해서 고통을 받는 여성들에게 호르몬의 

적절한 조절을 통해서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부 반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이 치료의 기간이 쌓일수록 발생하는 일들이 

여성의 몸에 적절치 못하다는 결론에 

이를 수가 있습니다. 

 

논문 하나를 보면서 풀어가보겠습니다. 

 

영국에서 발표된 위 논문은 2001년부터 

2013년 사이에 정맥혈전증 진단을 받은 

15~49세의 여성 만여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구피임약 혈전 생성 유발 위험을 조사했습니다.

 

분석 결과, 

야즈, 야스민 등의 드로스피레논 성분의 

4세대 피임제가 기존 약제에 비해서 

혈전이 발생할 위험이 최대 1.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피임약 복용 기간이 3개월 이상이고 

그 미만일수록 약물별로 상반되는 

결과도 나타났고, 경구피임약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구형 피임제를 사용한 

사람과 신형 제재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혈전의 위험이 각각 2.5배, 3.6~4.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여기서 나타난 일부 부작용 중 하나인 혈전은 

혈액의 응과 과정을 통해서 혈액이 지혈되어 

생성이 된 최종적인 산물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혈액이 응고되는 기전이 활성화가 되어서 

혈소판과 피브린이 모여 응집을 일으키는 

암적색 덩어리를 말합니다. 

 

채혈한 혈액을 별도의 처리없이 방치한다면 

응고되어서 생긴 것을 혈병이라 하며, 

이것이 체내에서 생성된 것을 혈전이라 

할만큼 위험한 질환이죠. 

 

체내에서 생성된 이 덩어리는 

보통은 섬유소 용해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소멸이 되지만 병적으로 생성되면 

생성량이 증가하게 되어서 체내에 모두 

용해시킬 수 없어 체내를 옮겨다니다가 

혈관을 막아서 또 다른 질환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혈전은 예방과 유해요소 차단이 최선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자, 고혈압환자, 심혈관질환자, 비만, 

사무직을 직업으로 한 여성과 가족력이 

있는 분들이라면 경구피임약 복용에 따른 

심혈관계 일부 부작용의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피임약의 선택에 대해 

충분하게 주치의와 면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피임약, 여성호르몬제 치료 모두 여성 스스로 

결정할 문제들이지만 한번쯤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 하기 위한 원칙을 세우고 

여성 생애주기를 더 크게보는 건강관리를 

해보심이 어떨까요? 

 

분명 차후에 그 관리가 임신과 출산, 

갱년기 등등의 인생의 굴곡을 지나면서 

힘이 되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전 유앤그린여성한의원이 

늘 응원하겠습니다.